파일 정리, 탐색, 이동... 마우스로 하나하나 클릭하고 계신가요? 단축키 몇 개만 외우면 파일 관리 속도가 확 달라집니다. 윈도우11에서 꼭 알아야 할 파일 탐색기 단축키, 오늘 정리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11 파일 탐색기 단축키에 대해 소개드릴게요. PC를 자주 쓰는 직장인이나 학생이라면 파일 정리는 필수지만, 매번 클릭하고 마우스 이동하는 게 귀찮고 번거롭죠. 하지만 단축키만 익혀두면 작업 효율이 2배 이상 빨라질 수 있어요. 지금부터 상황별로 어떤 단축키가 유용한지 차근히 알려드릴게요.
목차
2. 자주 쓰는 탐색기 단축키 TOP 10
3. 파일 복사·붙여넣기 단축키 정리
4. 창 전환과 탭 관리 단축키
5. 파일 탐색기 단축키 Q&A
6. 단축키로 얻는 업무 효율 효과
파일 탐색기 단축키 왜 써야 할까?
바로 키보드가 최고 속도입니다
마우스로 메뉴를 넘어 탐색기를 조작하면 한 번 클릭에 1~2초 소모됩니다. 하지만 단축키 왕복 클릭이면 0.2초! 반복되는 파일 이동, 선택, 삭제 등 작업에서 0.1초 차이는 정말 큰 차이를 만듭니다. 특히 반복 업무가 많은 직장인이나 콘텐츠 창작자에게는 선택이 아닌 필수 기능이죠.
윈도우 로그인 비번 없애는 가장 쉬운 방법
윈도우 비밀번호 해제를 하면 가장 먼저 체감되는 변화는 컴퓨터 부팅 속도입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바탕화면까지 바로 진입되니 편리하죠. 특히 혼자 쓰는 가정용 PC, 매
solang.co.kr
자주 쓰는 탐색기 단축키 TOP 10
익숙해지면 마우스가 필요 없어요
키 | 기능 |
---|---|
Ctrl + E | 검색 상자로 커서 이동 |
Alt + D | 주소 표시줄 선택 |
Ctrl + N | 새 탐색기 창 열기 |
Ctrl + W | 현재 창 닫기 |
Ctrl + Shift + N | 새 폴더 만들기 |
F2 | 선택한 항목 이름 변경 |
Alt + Enter | 속성 창 열기 |
Alt + ← / → | 뒤로/앞으로 이동 |
F11 | 전체화면 토글 |
Ctrl + Shift + E | 탐색기에서 폴더 구조 확장 표시 |
파일 복사·붙여넣기 단축키 정리
복붙은 기본! 더 다양한 기능도 있어요
파일 탐색기의 대표 기능인 복사(Ctrl+C), 붙여넣기(Ctrl+V), 잘라내기(Ctrl+X)는 기본이죠. 여기에 삭제(Delete), 되돌리기(Ctrl+Z), 다시 실행(Ctrl+Y)까지 익히면 실수해도 걱정 없어요. 또한 Shift + Delete는 휴지통 없이 영구 삭제하므로 꼭 주의하세요!
창 전환과 탭 관리 단축키
탐색기 탭도 웹브라우저처럼 쓴다!
윈도우11은 탐색기 탭 기능을 공식 지원합니다. Ctrl + T로 새 탭, Ctrl + W로 탭 닫기, Ctrl + Tab으로 탭 이동이 가능해요. Alt + Tab을 활용하면 탐색기와 다른 앱 사이 전환도 빠르게 할 수 있죠. 탭 단축키만 잘 써도 탐색기 속도와 생산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윈도우11의 파일 탐색기 단축키만 잘 익혀도 업무 효율은 정말 눈에 띄게 올라갑니다. 처음에는 낯설 수 있지만 자주 쓰는 키 몇 가지만 익혀도 마우스 클릭보다 훨씬 빠르게 작업을 마칠 수 있어요. 단축키는 시간을 줄여주고, 반복 업무를 간단하게 만들어주는 아주 강력한 무기입니다. 오늘 알려드린 단축키들을 하나씩 실전에서 활용해보세요. 분명히 체감할 수 있을 거예요!
다음카페 탈퇴 방법 완벽 정리 (모바일·PC 둘 다 가능)
무작정 탈퇴하기 전에 몇 가지 체크해야 할 부분이 있어요. 특히 자신이 운영진이거나 카페 운영자인 경우, 그대로 탈퇴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solang.co.kr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날씨 위젯, 잠금화면에 실시간으로 설정하는 법! (2) | 2025.07.08 |
---|---|
화면 캡처, 뭐가 제일 빠를까? 윈도우11 캡처 방법 비교 (1) | 2025.07.07 |
윈도우10 테마 변경하기, 이렇게 하면 쉽다! (0) | 2025.07.05 |
윈도우11 네트워크 속도 확인법! 3초만에 알아보는 팁 (2) | 2025.07.04 |
윈도우 바탕화면 아이콘 정리 꿀팁! 작업 효율 높이는 방법 (0) | 2025.07.03 |